똑똑한 경제로그

트럼프發 미중 금융 전쟁? 엔비디아發 기술주 폭락? 혼돈의 시대, 투자 전략 대전환!

머니로깃 2025. 4. 19. 17:55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엔비디아의 주요 반도체 생산품 중국 수출을 금지하면서 엔비디아 주가 급락은 물론 전반적인 기술주 하락을 야기했습니다. 

또한,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중국 기업의 뉴욕 증시 상장 폐지 가능성을 언급하며 시장에 불안감을 더했죠.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에 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중 금융 전쟁 가능성과 불안정한 시장 상황 속에서 어떻게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할지 전문가들의 분석내용들을 바탕으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럼프發 금융 전쟁, 현실 가능성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출처 : 아주경제)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기업 뉴욕 증시 상장 폐지 언급은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현재 286개의 중국 기업이 뉴욕 증시에 상장되어 있으며, 시가총액은 1조 1천억 달러에 달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상장 폐지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습니다.

 

미국의 포트폴리오 투자

미국은 해외에 15조 9천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지만, 외국인들은 미국에 33조 1천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즉, 미국은 포트폴리오 투자에서 17조 2천억 달러의 순 부채를 안고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미국 채권과 주식을 매수하지 않는다면 미국 금리는 상승하고 주가는 하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2025년3월이후 미국채10년물 금리(출처:경향신문)

중국의 미국채 매도 가능성

미중 금융 전쟁 시나리오 중 하나는 중국이 보유한 미국채를 매도하는 것입니다.

중국은 그동안 대규모 대미 수출을 통해 벌어들인 자금으로 미국채를 매수하며 미국 금리 안정과 주가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만약 미국이 중국 기업 상장 폐지를 강행한다면 중국 또한 미국채 매도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미국 금리 폭등, 자산 가치 폭락, 달러 인덱스 급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물론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성을 고려해야 하지만, 위와 같은 이유로 극단적인 상황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미국의 속내는 금융 시장 개방 압박?

중국 상하이(출처:중앙시사매거진)

미국이 중국에 원하는 것은 금융 시장 개방입니다.

2001년 WTO 가입 이후 중국은 대미 무역으로 막대한 이익을 얻었지만, 미국은 상품 수출로는 이 돈을 되찾아오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가장 잘하는 금융을 통해 중국 시장을 공략하려는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중국은 이미 금융 산업을 개방하여 은행업, 생명보험 회사, 증권사 등에 외국 자본의 진출을 허용했습니다. JP모건,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UBS 등 미국의 대형 금융 회사들이 중국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더 나아가 중국에 금융 시장 및 외환 시장 개방, 금리 자유화, 외환 시장 자유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하는 중국은 장기적으로 금리 및 외환 시장 자유화를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혼돈의 시대, 투자 전략은 어떻게?


한국증권거래소(출처:한겨레)

불안정한 시장 상황 속에서 투자자들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해야 합니다.

 

중국 ADR → 홍콩 H or 폰토 ETF

중국 ADR(미국 예탁 증서) 보유자들은 홍콩 H지수 ETF나 폰토 ETF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중국 비중 < 인도 비중

중국 경제 성장 둔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인도 시장에 대한 투자 비중을 늘리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브루킹스 연구소에 따르면 2040년에는 인도 1인당 GDP가 중국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달러 비중 < 엔 비중

중국의 미국채 매도 가능성에 대비하여 달러 외에 엔화 투자 비중을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일본이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엔화 강세가 예상됩니다.

 

해외 주식 비중 < 국내 주식(내수주) 비중

미중 패권 전쟁으로 인해 해외 금융 시장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도 영향을 받겠지만, 미국이나 중국 주식에 비해 코스피가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주식, 특히 미중 무역 분쟁의 영향을 덜 받는 내수 관련주 (통신 서비스 업종 등)에 대한 투자 비중을 늘리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자산 배분: 주식, 채권, 금, 대체 자산, 현금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여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한 행보와 미중 패권 경쟁 심화로 인해 글로벌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기를 기회로 삼아 유연하게 투자 전략을 수정하고, 분산 투자를 통해 위험을 관리한다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이 혼란스러운 시장 상황 속에서 투자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